760mmhg-1atm!
PV=nRT, 여기서 n= m질량/PM (peso molecular 분자무게?)
teorico문제 많이나오더라
주로 음 예를들면 2 H2+O2= 2 (H2O)
이런 화학식 하나 주고
수소가 2g일때 생성되는 물의 질량/몰수는?
1. 비를 구하기 (몰수) 2/1 =2
2. 문제에서 주어진 비를 구하기 (이때 음 pm으로 구하기도 하고 또는 질량으로 구함)
이렇게 이론적 화학비/ 실제화학비 (몰량)을 구해서 비교하는 거임
이때 양이 만약 더 생성된다고 하면 , 그만큼 초과한다는 거니까
EXCESO, limitante를 대충 잘 구해본다
그래서 뭐 빼주기도하고 여튼 잘 해서 응응 구핤 ㅜ잇어
o>p>m (1,2> 1,4> 1,3>
아로마 알콜에서 산성도 구하는 공식임
o가 산성가장 강하고~~~~
C11H23COOH 같은, 여러가지 카복실산 이름을 외워보자.
얘네 잘하면 생물학에서도 나오니깐 응응
일단 두종류로 나뉜다는거 기억하고. 포화.불포화
자동으로 아! 포화상태면~~~ ramificacion이 늘어날수록 녹는점이 높아지겠구낭~ 그치 알켄처럼! 하고
불포화상태면 반대이니 탄소수가 적을수록 녹는점이 높겠구낭~~~할 수 있으요
구조는 거의 비슷하니 나는 년도수처럼 외우겠어
일단 포화부터
1123년 라우리코. 뭔라 라우라같은 아이가 태어난 년도라고 생각하면되겠다 오 뭔가 1123 차례대로구만
1327년 미니스티코. 오...전혀관련은 없지만 미니스때리오....정부가 생각나는군 대충 정부설립일이 1327! 이렇게 외우자 우리할아버지 생년월일이랑 비슷하구만
1531년. 응....외우기ㅣ 쉬운데 이앞에서부터는 모조리 다 1700년대생이거든. 그니까 1500년생은 팔미티코기억하자. 팔마.. 먼가 그거다 야자수
요앞에서부터가 정말 중요해용. 1700년대생은 좀 외우기 어려울수도 있어. 자 잘 생각해보자~~
포화카복실산의 마지막은 eatearico에스떼아리코에용. 뭔가 에스티로더생각난다 아무말 이건 1735년생! 잘 기억해!!!!
에스테아리코보다 2년 늦게 태어난 아이가 있어요. 1733년생인 올레이코가 있슴. 녹는점이 불포화중에서 제일 높지요
그보다 2년 더 늦게태어난 리노레이코는 1731년생!!!
2년 더 늦게태어난 1729년생 리노레니코!
태어난 순서대로 다시 정리해보자면
1729년생 리노레니코linolenico
1731년생 리노레이코linoleico
1733년생 올레이코oleico
1735년생 포화인 acido estearico에스테아리코!
만약에 카르복실산인데 불포화이고, 가장 녹는점이 높은 산의 이름을 구하시오
하면 누굴까? 1733년생인 올레이코라는거임.
흠 29년생이랑 31년생....너무 헷갈리네.
니코랑 이코임. 니코는 남자아이. 1729년 더 일찍태어난 장남
1731년이 이코. 뭔가 iiko mitaina kanji ajjaa kore nanka romade hiragana kakuto kimoidana wwwwww
여튼 응 이이코~~이이코~~하니까 여자아이네 누가봐도ㅋㅋㅋㅋㅋㅋㅋㅋ 뭐라는지 모르겠다 솔지깋 이해해조라 지금은 새벽 5시고 나는 잠을 안잤고 청심환에 커피를 마셨고 잠이온다 절대 술마신게아님
그래여튼 그래서 장남인 니코 1729년에 태어났고 (리노레니코linolenico)
동생 이코는 1931년, 리노레이코linoleico인거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야 이게 외워지네 ㅅㅂ
문제를 보자. c17h33이래. 1933년생은...니코랑 이코는 아니네 그럼 그 다음은 올레이코잖아. 올레이코구나
이제 근대화시대? c19h31년생이 있는데 얘느느 아나키돈산. 아나키돈산 어디서봤냐면...기억나니 생물학에서 무슨 세포내 전달물질이였나 거기에 아나키돈산에서 온 녀석들이 있었어. 기억이 잘.... 뭐였지 그건가 호르몬....?ㅇㅇ 호르몬맞는듯
스테로이드 계열이었나? 아닌가 여튼 그랬어 그게 1931. 그니까 이코랑 무려 200년차이....컨셉놀이에 맛들렸군
녹는점이 불포화카르복실중 가장 낮다는 점....예엥
산 반응점!!!!!!! reactividad relativa de derivado de acidos!!!
HCI반응이 제일좋고. 이온이라 그런가
anhidrido de acido그니까... Mn2O6 이런얘들이 그 다음.
ester~ 카르복실산이 그==그다음이고....
아마이드가 제일 반응이 적구낭.
오오 놀랍게도 정답을 맞혀버렸다
놀랍군 anhidrido가 반응성이 chcl다음으로 높은건 생각도 안해봄
카르복실 이름
탄소 1 | ac. formico |
탄소 2 | ac. acetico |
탄소 3 | ac. propionico |
탄소 4 | ac. butirico |
탄소 5 | ac. valerico |
탄소 6 | ac. caproico |
탄소 7 | ac. enantico |
탄소 8 | ac. caprilico |
탄소 9 | ac. pelargonico |
탄소 10 | ac. caprico |
일단 1은 폼이네...신기
2는 아세트산! 초산..식초... 너무 유명하죵
여기서 관건은 이름이 비슷한 6.8.10 이겠죵
caproico<caprilico<caprico!!!
외울만한게 보통 그 산에서 제일 번호쎈거 -ico붙이는거 똑같고
가운데는 릴리코
제일 약한 6번은 프로이코!!!!!!
이거보고 다시한번 외우깅
'UNA MED 현역 2021 > 화학(QUIM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화학] 유기화학 1 정리 (0) | 2022.11.02 |
---|---|
[Quimica] 2021 medicina UNA 의대입시 시험 내용정리/풀이 (0) | 2022.02.28 |
[화학] 전기화학electroquimica (0) | 2022.01.24 |
[quimica] guia 3 (0) | 2021.12.22 |
[Quimica] Estequiometria de la composicion 화학양론 (복습!) (0) | 2021.12.22 |
댓글